새 문서 목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2024년 12월 11일 (수) 23:16 역학, Lorentz Transformation (역사 | 편집) [339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로렌츠 TR로 length contraction, time dialation을 설명할 때, 주의 length contraction에서는 동시에 좌표의 차를 구하고, time dialation에서는 같은 위치에서 시간의 차를 구한다. 구한 다음에는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좌표계와 비교를 해서 물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 2024년 12월 3일 (화) 13:53 리만 적분, 르벡 적분 (역사 | 편집) [451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리만적분은 적분 상한과 적분 하한의 차이를 임의의 수까지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줄일 수 있다는 뜻은, 적분 간격의 수를 어느 수 이상으로 늘일 수 있을 때,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엡실론-델타의 이해가 해석학의 기본이듯이, 이걸 감으로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솔직히 입실론 델타 개념은 4학년이 되어서야 이해를 할 수 있었다.)
- 2024년 12월 3일 (화) 13:49 Well-ordering and Mathematical induction (역사 | 편집) [676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Well-ordering 과 Mathematical induction은 동치이다.)
- 2024년 12월 3일 (화) 13:49 잘 모르는 수학 (역사 | 편집) [388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물리를 전공하면서 수학은 도구라고 생각한 경우가 많았다. 이제야 조금 재미를 느끼게 된 것은, 좀 생각이 많아져서인지도 모르겠다. Well-ordering and Mathematical induction )
- 2024년 11월 29일 (금) 01:28 르벡 적분 (역사 | 편집) [1,258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Theory of open quantum system이라는 책을 공부하다보니 확률론이 나오고 measure가 나오는데, 리만 measure와 르벡 measure가 다르다고하여 르벡 적분을 공부하려고 봤더니, 다시 집합론이 나온다. 무한 가산 집합의 크기? 가 알레프 넘버 0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실수 집합의 크기가 알레프 넘버 1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Z+와 1:1대응이 이루어지면, 대등하다고 한다. 아...)
- 2024년 11월 22일 (금) 15:18 역학, 오일러 방정식 (역사 | 편집) [966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먼저 principal axis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강체의 principal axis는 inertia tensor의 eigenvector로 이루어진 축이다. 즉, inertia tensor는 3차원 공간에서 정의가 되는 mathematical object이므로 3차원 공간에서 무조건 eigenvector가 존재한다. 더구나 inertia tensor는 symmetric real tensor이다.)
- 2024년 10월 8일 (화) 11:05 역학, falling chains (역사 | 편집) [9,023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Falling chain은 여러가지 버전이 있는데, 강의를 하면서 학생들이 잘 이해 못하는 것 같아 정리해 본다. 먼저 에너지 보존이 되는가은 문제가 있다. 이것은 컨베이어 벨트로 떨어지는 물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먼저 <math> \Delta M </math>인 물체가 컨베이어 벨트로 떨어져서 속력이 <math> v </math>가 된다고 하자. 이때 걸린 시간이 <math> \Delta t </math>라고 하자....)
- 2024년 10월 5일 (토) 13:48 Many-body Physics (역사 | 편집) [247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Mahan의 책에서 (1.66) is wrong. <math> x_k^\dagger = x_{-k} </math> 이므로, <math> a^\dagger = 1/ sqrt{2} x_0 ( x_{-k} - i / m {omega}_k p_k ) </math> 이다.)
- 2024년 10월 3일 (목) 00:17 역학 에너지, orbit equation (역사 | 편집) [1,288 바이트] Jw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math> L = \frac{1}{2} \mu ( \dot{r}^2 + r^2 \dot{\theta}^2 } + \frac{k}{r} </math>)